맨위로가기

시마즈 나리아키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마즈 나리아키라는 1809년 사쓰마 번의 번주 시마즈 나리오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증조부의 영향으로 서양 학문에 관심을 가졌으나, 번 내부의 권력 다툼으로 인해 40세가 넘도록 번주가 되지 못하고, 이복 동생의 옹립 음모에 휘말리기도 했다. 1851년 오유라 소동 이후 제11대 사쓰마 번주가 된 그는 부국강병을 위해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하급 무사 출신인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등을 등용하며 막부 정치에도 관여했다. 1858년 쇼군 후계자 문제로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와 대립하던 중, 상경을 앞두고 콜레라로 사망했다. 그는 메이지 유신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받으며, 일장기 게양을 처음 제안하고, 인재를 길러낸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마즈 나리아키라 - 에이주인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부인인 에이주인은 자녀들의 요절과 남편 사후 2개월 만에 사망하여 오유라 소동과 덴쇼인의 시집가기에 영향을 주었고, NHK 드라마에서 요 키미코가 연기했다.
  • 시마즈 나리아키라 - 막말사현후
    막말사현후는 막말 시기에 활약한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다테 무네나리, 야마우치 도요시게, 시마즈 나리아키라를 지칭하며, 이들은 막부 말 정치에 적극 참여하여 대정봉환 등에 영향을 미쳤으나 메이지 유신 후 정치적 견해 차이로 정계에서 물러났고, 이들의 활동과 영향력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현대 정치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된다.
  • 사쓰마번주 - 시마즈 나리노부
    시마즈 나리노부는 에도 시대 사쓰마번의 9대 번주로, 아버지의 은거로 번주가 되었지만 실권은 아버지에게 있었고, 번정 개혁 추진 중 권력 다툼으로 강제 은거당했으며, 고국학자 다카야마 히코쿠로와 친교가 있었고, 현재 일본 천황의 증조부이다.
  • 사쓰마번주 - 시마즈 시게히데
    시마즈 시게히데는 에도 시대 후기 사쓰마 번의 번주이자 가지키 시마즈 가문의 당주로서, 난학에 대한 관심과 교육 진흥, 정략결혼을 통해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로 번의 재정을 악화시켜 비판받기도 한다.
  • 사쓰마 시마즈가 - 시마즈 히사미쓰
    시마즈 히사미쓰는 사쓰마 번 다이묘의 아들로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쓰마 번의 실권을 장악하고 공무합체를 추진하며 중앙 정계에 개입, 보신전쟁을 지지했으나 메이지 유신 후 신정부의 개혁 정책에는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 사쓰마 시마즈가 - 시마즈 시게히데
    시마즈 시게히데는 에도 시대 후기 사쓰마 번의 번주이자 가지키 시마즈 가문의 당주로서, 난학에 대한 관심과 교육 진흥, 정략결혼을 통해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로 번의 재정을 악화시켜 비판받기도 한다.
시마즈 나리아키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마즈 나리아키라
존칭정1위
이름시마즈 나리아키라
원어 이름島津 斉彬
원어 이름 (언어)ja
국적일본
출생1809년 4월 28일
출생지에도, 일본
사망1858년 7월 16일
배우자도쿠가와 쓰네히메
수상정1위
직책
직위사쓰마 번 다이묘
임기 시작1851년
임기 종료1858년
이전시마즈 나리오키
다음시마즈 다다요시
일본어 정보
무사 정보
가문Maru ni Jū-monji (Kutsuwa) inverted.svg
가문 설명마루에 십자
에도 시대 정보
시대에도 시대 후기 ~ 말기(막말)
출생 및 사망 정보
출생 (일본 기준)분카 6년 3월 14일(1809년4월 28일)
사망 (일본 기준)안세이 5년 7월 16일(1858년8월 24일)
개명 정보
개명호마루(유아명)
다다카타 (초명)
나리아키라
별명유사부로 (통칭)
유이케이
린슈 (법명)
시호해당 없음
신호데루쿠니 다이묘진
계명슌세이인덴 에이토쿠료유 다이코지
묘소 정보
묘소가고시마현가고시마시이케노우에정의 시마즈 가문 묘지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데루쿠니정의 데루쿠니 신사
관위 정보
관위종4위하시종
효고노카미
분고노카미
좌근위권소장
수리대부
사쓰마노카미
종4위상 좌근위권중장
증종3위권중납언
종1위
정1위
주군 정보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나리
이예요시
이에사다
사쓰마가고시마 번
가문 정보
씨족시마즈 씨(島津氏)
가족 정보
부모아버지: 시마즈 나리오키
어머니: 미야히메(이케다 하루미치의 딸)
형제나리아키라
이케다 나리마사
히사미쓰
배우자정실: 쓰네히메(도쿠가와 나리아쓰의 딸)
자녀기쿠사부로
간노스케
아쓰노스케
데쓰마루
스미히메
구니히메
아키히메
노리히메
네이히메
양자다다요시
덴쇼인
사다히메(시마즈 히사나가의 딸)
기타 정보
특기 사항막말의 사현후의 한 명

2. 성장과정 및 오유라 소동

島津 斉彬|시마즈 나리아키라일본어1809년 에도의 사쓰마 번저에서 태어나, 증조부 시마즈 시게히데의 영향으로 난학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이는 서양 문물에 대한 집착으로 비춰져 번 내 분란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나리아키라가 번주가 되면 시게히데처럼 사치할 것을 우려한 아버지 시마즈 나리오키는 그에게 가독을 물려주지 않았고, 이복동생 시마즈 히사미쓰를 옹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유라 소동이라 불리는 내분이 발생했다. 나리아키라의 측근들은 히사미쓰와 그의 어머니 오유라노카타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오히려 많은 이들이 처벌받았다. 이 과정에서 후쿠오카번주 구로다 나가히로 등의 중재와 아베 마사히로를 비롯한 막부 요인들의 도움으로, 1851년 나리아키라가 사쓰마 번주에 오르게 되었다.

2. 1. 출생과 가문 배경

島津 斉彬|시마즈 나리아키라일본어는 1809년 4월 28일 에도의 사쓰마 번 영지에서 시마즈 나리오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당시 현명한 부인으로 유명했던 어머니 가네코(周子)는 당시로는 드물게 나리아키라를 비롯한 3명의 아이를 유모에게 맡기지 않고 직접 양육하였다. 그는 어머니를 통해 다테 마사무네,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의 후손이었다.[1] 증조부인 제8대 번주 시마즈 시게히데의 영향을 받아 난학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는데, 이는 주위의 눈에는 서양문물에 집착하는 것으로 보여 사쓰마 번 내분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나리아키라가 영주가 되면 시게히데처럼 사치를 하여 번 재정이 더욱 곤궁하게 될 것이 염려되어, 아버지 나리오키는 나리아키라가 40세가 넘도록 후계자로 삼지 않았다. 가신(家臣)의 우두머리였던 즈쇼 소자에몬 히로사토와 나리오키의 측실인 오유라노카타 등은 나리아키라의 이복동생 시마즈 히사미쓰의 옹립을 획책했다.

2. 2. 오유라 소동

1851년 시마즈 나리오키가 은거하고, 시마즈 나리아키라가 제11대 사쓰마 번주로 취임하기까지 발생한 일련의 내분을 오유라 소동이라고 부른다.

나리아키라가 영주가 되면 시마즈 시게히데처럼 사치하여 번 재정이 더욱 곤궁해질 것을 우려한 아버지 나리오키는 나리아키라가 40세가 넘도록 후계자로 삼지 않았다. 가신(家臣)의 우두머리였던 즈쇼 소사에몬 히로사토와 나리오키의 측실인 오유라노가타 등은 나리아키라의 이복동생 시마즈 히사미쓰의 옹립을 획책했다.[1]

나리아키라의 측근들은 히사미쓰와 유라의 암살계획을 세웠지만, 정보가 사전에 누설되어 주모자 13명은 할복 자살, 그들과 연좌된 약 50명이 낙향 및 근신에 처해졌다.[27] 그 중 4명은 필사적으로 탈출하여 시게히데의 13번째 아들이자 후쿠오카번에 데릴사위로 들어가 번주 자리에 오른 구로다 나가히로에게 도움을 청했다. 나가히로의 중재로 나리아키라와 친분이 있던 노중(老中) 아베 마사히로, 우와지마번주인 다테 무네나리, 후쿠이번마쓰다이라 요시나가 등이 사태수습에 노력했다.

마르퀴스 구로다 나가히로,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가까운 친척


나리아키라는 아버지 시마즈 나리오키 또는 아버지의 수석 고문인 주쇼 히로사토와 뜻이 맞지 않았다. 나리오키와 주쇼는 모두 도쿠가와 막부를 경계했다.[2] 주쇼는 또한 나리아키라와 그의 할아버지 시게히데 사이의 많은 유사점을 발견했다. 시게히데는 네덜란드 연구와 과학 및 산업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즉시 영지의 재정 상황을 악화시켰다. 사쓰마의 재정을 재건하고 강화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던 주쇼는 나리아키라의 야심 차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군사력 증강 계획을 권장하지 않았다.[2]

나리아키라가 일본 전체의 방어력을 강화하려는 계획뿐만 아니라 사쓰마의 ''다이묘''로 등극하는 데 있어서 또 다른 강력하고 위험한 장애물은 이복 동생 히사미쓰의 어머니인 유라였다.[4] 주쇼, 나리오키, 유라, 히사미쓰는 나리아키라의 비상한 지성에 위협을 느껴 나리아키라가 그의 아버지를 ''다이묘''에서 은퇴시키고 그의 자리를 차지하려는 모든 시도를 방해하려 했던 다른 사쓰마 관료들을 규합한 연합의 핵심 멤버였다.

나리아키라가 사쓰마의 영주로 등극하는 것을 더욱 불신하고 방해하기 위해, 유라는 최소 다섯 명의 영적 지도자에게 나리아키라의 장남에게 주문을 걸고 나리아키라의 자녀들을 저주하기 위한 다른 조치를 취하도록 요청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나리아키라의 많은 추종자들은 유라가 그의 장남의 잇따른 죽음의 원인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많은 사람들이 유라, 그녀의 아들 히사미쓰, 그리고 나리아키라의 장남의 죽음에 한몫했다고 생각하는 주쇼의 암살을 요구하게 만들었다. 나리아키라는 그들을 억제할 수 있었다. 살해 계획을 듣고 나리오키는 나리아키라의 지지자들을 색출하여 그들의 ''세푸쿠''에 의한 죽음을 명령하기 시작했다.[6]

갈등이 너무 심해져 나리아키라는 아베 마사히로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 아베는 나리아키라가 류큐 왕국 문제에 대해 그의 아버지와 가족 가신들의 방해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고 나리오키가 은퇴하고 주쇼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아베는 먼저 나리오키가 크게 의존했던 주쇼를 제거하기 위해 그를 에도로 초대했다.[7] 대화 과정에서 아베는 주쇼에게 일련의 질문을 시작했는데, 이는 아베뿐만 아니라 도쿠가와 막부도 쇼군의 쇄국 정책에 반하여 수행되고 있는 불법적인 사쓰마-류큐-서방 무역 관계의 진실을 알고 있다는 것을 주쇼에게 분명히 드러나게 했다. 나리오키에 대한 주쇼의 헌신은 그가 1848년 12월 18일에 ''세푸쿠''를 하여 불법 무역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도록 했다.[7] 1850년 12월 3일, 나리오키는 쇼군에 의해 에도로 불려가 귀중한 다기 세트를 선물받았는데, 이는 쇼군이 나리오키의 은퇴를 바라는 것을 나타냈다. 1851년 2월, 나리오키가 물러나고 나리아키라가 제11대 사쓰마 번주로 취임했다.

3. 번주 취임 이후

시마즈 나리아키라는 1851년 사쓰마번의 번주가 된 직후, 번의 부국강병과 근대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는 서양의 기술과 문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번의 발전을 꾀하였으며, 이는 메이지 유신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나리아키라는 아베 마사히로를 비롯한 여러 번주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막부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페리 제독의 개항 요구 이후, 공무합체를 통해 서양 열강의 침략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1853년 11월에는 양녀인 덴쇼인과 함께 일련정종 총본산인 다이세키지에 귀의했다.[1]

3. 1. 부국강병 정책 추진

번주로 취임하자마자 번의 부국강병을 위해 힘썼다. 서양식 조선, 반사로 및 용광로 건설, 지뢰, 수뢰, 유리, 가스등 제조를 비롯한 서양식 공업 (집성관 사업)을 일으켰다. 도사번 출신으로 미국에 표류했다가 귀국한 나카하마 만지로(존 만지로)를 불러들여 1854년에 서양식 군함인 쇼헤이마루(昇平丸)를 건조해 도쿠가와 막부에 헌상하였다. 이때 일장기를 일본 배에 걸어야 한다고 막부에 제안하여 그 해에 막부에서 이를 정식으로 받아들였다. 이후, 일장기는 일본의 국기가 된다. 범선용 범포를 자급하기 위해 면포 방직 사업을 일으켰다. 또한 하급무사 출신 의사인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를 등용하여 그들을 통해 막부 정치에 관여하기도 했다.

1857년 로주 마사히로가 사망한 이후 1858년 다이로가 된 이이 나오스케와 쇼군 후계자 문제로 정면 대립하였다.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는 병약하고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마쓰다이라 요시나가(후쿠이번주), 다테 무네나리(우와지마번주), 야마우치 요도(도사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미토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쓰(오와리번주) 등과 함께 차기 쇼군으로 히토쓰바시 요시노부(후의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옹립하기 위해 덴쇼인고노에 가문의 양녀로 보낸 후 이에사다의 정실부인으로 시집보내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이 나오스케는 이에 대항하여 기슈번주 도쿠가와 요시토미를 내세웠고 다이로의 지위를 이용해 강권을 발동해 반대파를 탄압한 안세이 대옥 사건을 일으켰다. 그 결과, 도쿠가와 요시토미가 제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로 등극하여 나리아키라 등은 후계자 다툼에서 패배하게 된다.

3. 2. 막부 정치 참여

시마즈 나리아키라는 마쓰다이라 요시나가(후쿠이번주), 다테 무네나리(우와지마 번주), 야마우치 요도(도사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미토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쓰(오와리번주) 등과 번주가 되기 전부터 교류했다. 나리아키라는 그들과 함께 막부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로주 아베 마사히로에게 막부에 의한 정치개혁을 호소했다. 특히 미국의 페리 함대가 나타난 이후의 난국을 타개하려면 공무합체의 길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1857년 로주 마사히로가 사망한 후, 1858년 다이로가 된 이이 나오스케와 쇼군의 후계자 문제로 정면 대립하였다.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는 병약하고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무네나리 외 4명의 영주와 전 미토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 등은 차기 쇼군으로 히토쓰바시 요시노부(후의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옹립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하였다. 이이 나오스케는 이에 대항하여 기슈 번주 도쿠가와 요시토미를 내세웠고 다이로의 지위를 이용해 강권을 발동해 반대파를 탄압한 안세이 대옥 사건을 일으켰다. 그 결과, 도쿠가와 요시토미가 제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로 등극하여 나리아키라 등은 후계자 다툼에서 패배하게 된다.

3. 3. 안세이 대옥과 좌절

1857년 로주 마사히로가 사망한 후, 1858년 다이로가 된 이이 나오스케쇼군 후계자 문제로 정면 대립하였다. 도쿠가와 이에사다는 병약하고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나리아키라는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다테 무네나리, 야마우치 요도, 도쿠가와 나리아키, 도쿠가와 요시카쓰 등과 함께 히토쓰바시 요시노부(후의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차기 쇼군으로 옹립하기 위해 활동하였다. 이들은 덴쇼인을 고노에 가문의 양녀로 보낸 후 이에사다의 정실부인으로 시집보내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였다.

이이 나오스케는 이에 대항하여 기슈번주 도쿠가와 요시토미를 내세웠고, 다이로의 지위를 이용해 강권을 발동하여 반대파를 탄압하는 안세이 대옥 사건을 일으켰다. 그 결과, 도쿠가와 요시토미가 제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로 즉위하면서 나리아키라 등은 후계자 다툼에서 패배하였다.

4. 최후

1858년 7월 8일 가고시마성에서 출병을 위한 연병 관람 중 발병하여 7월 16일 콜레라로 50세(만 49세)에 사망하였다.[29]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그의 적자가 모두 요절한 것과 더불어 아버지 시마즈 나리오키나 동생 시마즈 히사미쓰, 또는 그들의 지지자들의 음모 때문이라는 소문도 있었다.

오요로이 (Ō-yoroi) 시마즈 나리아키라 소유. 도쿄 후지 미술관


나리아키라가 죽은 후, 그의 유언에 따라 히사미쓰의 장남인 시마즈 다다요시가 뒤를 이었다. 유언에서는 다다요시에게 나리아키라의 장녀를 시집보내는 조건으로 가양자로 삼고, 여섯째 아들 데쓰마루를 후계자로 지명하여 데쓰마루와 다다요시의 상속 다툼을 사전에 방지하는 내용이었지만, 데쓰마루는 1859년에 3세로 요절했다.

5. 인물 및 일화


이치키 시로가 1857년에 촬영한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다게레오타입 사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본인 사진이다.

  • 촬영 기술 자체에도 흥미를 가져 성의 사진을 직접 촬영하는 등, 호기심이 많은 인물이었다고 한다. 나리아키라가 촬영한 사진은 당시 기술로는 훌륭했다고 전해진다.
  • 사이고 다카모리 등 후의 유신지사들에게 존경받았으며, 사이고 등은 나리아키라의 사망을 알고 통곡하며 뒤를 따라 순사하려 했다. 나리아키라의 공적은 메이지 시대를 구축하게 될 인재를 길러낸 것도 그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나리아키라는 이과학에 기초한 공업력이야말로 서양열강의 힘의 근원임을 간파하고, 자신도 알파벳을 배우는 등 높은 세계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교육 과정에서 로마 문자를 읽고 쓰는 법을 배웠으며, 나중에는 일본 단어를 개인적인 암호 형태로 쓰기 위해 로마 문자를 사용했다.
  • 『시마즈 나리아키라 언행록』[32]에는 "군주는 애증으로 사람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 "열 사람이 열 사람 모두 좋아하는 인재는 비상사태에 대응할 수 없으니 등용하지 않는다" 등, 근대적인 인재 등용책을 제시했음을 엿볼 수 있는 기술도 있다.
  • 딸인 덴쇼인과 함께 시즈오카현의 다이세키지(일련정종총본산)에 시주를 하기도 했지만,[33] 그 교리를 진심으로 따랐는지는 연구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6. 평가

시마즈 나리아키라는 막말사현후 중 한 명으로 꼽힐 정도로 뛰어난 인물이었다. 마쓰다이라 슌가쿠는 나리아키라를 "다이묘 중 제일가는 분"이라 칭하며, 도쿠가와 나리아키, 야마우치 요도, 나베시마 나오마사도 따를 수 없는 인물이라 평가했다.[35] 다테 무네나리는 나리아키라를 깊이 존경하여 그의 덕을 칭송하는 말을 남겼다.[36]

나리아키라는 사이고 다카모리를 발탁하고, 메이지 유신을 이끌 인재들을 길러낸 것으로도 높이 평가받는다. 가쓰 가이슈는 나리아키라가 사이고를 정원지기로 등용한 것을 높이 평가하며, 자신을 사이고에게 소개한 것도 나리아키라였다고 회고했다.[37] 이토 히로부미는 나리아키라를 "매우 호걸이고 탁월한 사람"이라 칭하며, 그의 선견지명에 감탄했다.[40]

나리아키라는 서양 문물 도입에도 적극적이었다. 가고시마현의 상고 집성관에는 나리아키라가 도입한 서양 문물 일부가 전시되어 있는데, 특히 유리공예가 유명하다. '사쓰마의 다홍색 유리'는 다이묘들 사이에서 선물로 주고받을 정도로 귀하게 여겨졌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기술이 단절되었다가 최근 복원에 성공하여 '사쓰마 기리코(薩摩切子)'라는 이름으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나리아키라는 당시 다이묘 중 가장 먼저 사진을 찍은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사진 기술 자체에도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나리아키라는 일장기 게양을 처음 제안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덴쇼인과 함께 시즈오카현의 다이세키지(일련정종 총본산)에 시주하기도 했다.

7. 계보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시마즈 나리오키1791년1859년
어머니이요히메1792년1824년카네코, 켄쇼인, 이케다 하루미치의 딸
동복형제이케다 나리토시
동복형제코우히메야마우치 토요테루의 정실
동복형제모로노스케1817년1819년시마즈 히사미츠와 같은 해에 태어남
동복형제진노스케1819년1820년
정실에이쥬인히사히메, 히토츠바시 도쿠가와 나리아츠의 딸
장남키쿠사부로1829년 8월 31일1829년 10월 8일정실 소생
측실사카이 타다에의 딸
장녀스미히메1837년 8월 31일1840년 9월 1일
차녀쿠니히메1839년 1월 9일1840년 6월 22일
측실田宮安知의 딸
3남세이노신1848년 1월 5일1850년 11월 7일
5남토라쥬마루 (우츠지로)1849년 5월 23일1854년 9월 16일법호 "각법원(覚法院)", 코노에 타다히로의 딸인 노부키미의 약혼자
측실이쥬인 스마1821년1870년이쥬인 카네즈네의 양녀
4남아츠노스케1848년 12월 18일1849년 8월 8일
3녀테루히메 (테루코)1851년 2월 16일1869년 5월 5일시마즈 타다요시의 정실
4녀시마즈 노리코1852년 7월 14일1903년 12월 28일노리히메, 시마즈 우즈히코의 부인
5녀시마즈 이즈코1853년 11월 30일1879년 5월 24일이즈히메, 시마즈 타다요시의 후처
6남테츠마루1857년 10월 26일1859년 2월 4일
측실하타모토 요코세 카츠키의 딸
차남간노스케1845년 8월 30일1848년 6월 7일
양자시마즈 타다요시1840년1897년시마즈 히사미츠의 장남
양녀덴쇼인1836년1883년아츠히메,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정실, 시마즈 타다타케의 장녀
양녀사다히메미츠코, 코노에 타다후사의 정실, 시마즈 히사나가의 딸



다수의 자녀 중 성인이 된 것은 측실 스마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세 딸뿐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동생 시마즈 히사미츠의 아들들과 혼인하였다.[41] 양자인 타다요시에게 시집간 두 딸은 모두 난산으로 사망하였고, 무사히 성인이 될 때까지 자녀를 키우고 자신도 목숨을 부지한 것은 노리히메뿐이었다.[41] 나리아키라의 핏줄은 6남 테츠마루가 3세의 나이로 요절하면서 남계 후손은 끊겼고, 노리히메를 통해 여계는 시마즈 가문의 여러 분가 등으로 이어졌다.[41] 나리아키라의 어머니 이요히메 (카네코)는 돗토리번주 이케다 하루미치와 센다이번다테 시게무라의 딸 이쿠히메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테 마사무네, 모리 모토나리의 피를 잇고 있다.[41]

참조

[1] 문서 Iwata
[2] 서적 Shimazu Nariakira
[3] 서적 Shimazu Nariakira
[4] 서적 Shimazu Nariakira
[5] 서적 The Satsuma-Ryukyu Trade
[6] 문서 Ravina
[7] 서적 Shimazu Nariakira
[8] 서적 The Columbia anthology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문서 Ravina
[10] 문서 Minayoshi was Ōkubo Toshimichi’s maternal grandfather
[11] 문서 Iwata
[12] 문서 Iwata
[13] 서적 The History of Japanese Photography Yale University Press
[14] 서적 Challenging past and present: the metamorphosis of nineteenth-century Japanese 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5] 뉴스 Through the Looking Glass: How Japanese Photography Came of Age http://goliath.ecnex[...] World and I 2004-05-01
[16] 웹사이트 PhotoHistory 1999 http://www.photojpn.[...] 2002
[17] 웹사이트 銀板写真(島津斉彬像)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7-01-24
[18] 서적 Shimazu Nariakira
[19] 문서 Ravina
[20] 문서 Iwata
[21] 문서 Ravina
[22] 문서 Yates
[23] 문서 Ravina
[24] 문서 Yates
[25] 웹사이트 島津斉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6] 웹사이트 集成館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7] 문서 同年6月(旧暦)に斉興は第10代藩主となる。
[28] 문서 旧暦の嘉永4年7月1日と7月30日(同月最終日)は、新暦(グレゴリオ暦)では1851年7月28日と8月26日にあたる。
[29] 문서 鹿児島市照国町に鎮座する照国神社の祭神でもある。
[30] 문서 維新後その技術は断絶し、当時のものは希少な骨董として高い価値を持つ。近来になり復元・復興に成功し、薩摩切子の名で生産されている。
[31] 웹사이트 日本写真協会:6月1日「写真の日」について http://www.psj.or.jp[...] 日本写真協会 2019-06-01
[32] 문서 岩波文庫、復刊1995年、序文は牧野伸顕
[33] 문서 旧暦の嘉永6年11月1日と11月29日(同月最終日)は、新暦(グレゴリオ暦)では1853年12月1日と12月29日にあたる。
[34] 문서 267万両がにせ天保通宝。
[35] 문서 『逸事史補』
[36] 서적 西郷隆盛言行録
[37] 서적 海舟全集 第十巻
[38] 서적 亡友録
[39] 서적 逸話文庫 通俗教育 志士の巻
[40] 간행물 伊藤侯,井上伯,山県侯元勲談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41] 간행물 島津氏正統系図 島津家資料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